저축보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쓰레기라고 욕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어떤 부분 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나오는건지, 또 그렇지 않은 상품도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저축보험이란?
저축보험은 목돈 마련과 함께 일정 수준의 보장까지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보험사에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면, 계약 기간이 끝난 후 원금과 함께 일정 이자를 더해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은행의 정기예금과 비슷해 보이지만, 보험의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저축보험은 크게 2가지로, 일반 저축보험과 연금 저축보험으로 구분됩니다.
- 일반 저축보험: 만기 시 목돈을 받는 상품으로, 자녀 교육자금이나 주택 마련 자금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 연금 저축보험: 은퇴 후 매월 일정 금액을 연금 형태로 지급받는 상품으로, 노후 대비에 적합합니다.
보장성 보험 및 저축성 보험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보험이라는 것은 보장성 보험이기 때문에 저축성이 없고 보험료는 비교적 낮은 것들을 의미합니다. 실비보험이나 암보험, 건강보험, 사망보험 등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저축성 보험은 말 그대로 저축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으로 자산축적이 주된 목적이며 이자와 함께 보험금을 지급하고 그에 비해 보장성이 낮은 것을 의미합니다. 종신보험이나 변액보험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저축보험 장단점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은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서 간단히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또한 어디에 속한 상품인지에 따라서도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저축보험 장점
원금 보장이 가능한 상품도 있음
저축보험 중에는 원금 보장형 상품이 있어,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험금 5,000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주식이나 펀드보다 안정적인 자산관리 수단이 됩니다.
복리 효과
저축보험은 일반 예금보다 높은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보험사마다 다르지만, 장기 유지 시 복리 효과로 인해 수익이 커질 수 있습니다.
세제 혜택(중요)
특히 연금 저축보험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 최대 400만 원(50세 이상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해, 세금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보험 기능 포함
만약 계약자가 중도에 사망할 경우, 사망보험금을 수익자에게 지급해 유가족의 생계 보장 기능도 함께 제공합니다.
중도인출 및 추가납입 가능
대부분의 저축보험은 중도인출 기능이 있어, 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 일부를 인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납입 기능으로 수익률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저축보험 단점
낮은 수익률
저축보험은 주식이나 펀드 등 고수익 상품보다 수익률이 낮습니다. 특히, 초기에 공제되는 사업비(수수료)와 유지 관리 비용이 크기 때문에 단기간에 해지할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지 시 손실 발생
보험 상품은 중도 해지 시 해지환급금이 원금보다 적습니다. 특히 가입 초기 3~5년 이내 해지할 경우 사업비 등으로 인해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사업비와 보험료 구성의 불투명성
일부 저축보험은 보험료에 사업비가 포함되는데, 이 부분이 불투명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객은 실제 투자되는 금액이 얼마인지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장기 유지를 요구함
저축보험은 최소 10년 이상 장기 유지해야 이점이 커지는데, 이 점이 유동성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저축보험이 ‘쓰레기’라고 불리는 이유
일부 사람들은 저축보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쓰레기”라고까지 표현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률 대비 사업비 과다
저축보험은 초기 사업비가 높아 실제 투자되는 금액이 적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 몇 년간은 원금이 잘 불어나지 않습니다.
- 예: 월 30만 원씩 10년 납입 시, 실제 적립금은 예상보다 크게 낮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상품 구조
저축보험은 금리형, 변액형, 종신보험 형태의 저축 기능 등 여러 종류가 혼합되어 있어,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약관이 복잡해 예상치 못한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리한 판매와 불완전판매
일부 설계사들이 높은 수당을 위해 저축보험을 만능 투자상품인 것처럼 홍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불완전판매는 가입자들이 기대와 다르게 저조한 수익률을 경험하게 만듭니다.
해지환급금의 실망
가입자가 중도에 해지하려고 하면 예상보다 적은 해지환급금에 크게 실망하며 저축보험을 ‘쓰레기’라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축보험 해지 환급급 3개월, 6개월, 9개월, 1년, 2년, 3년, 4년, 5년별로 차이입니다. 이는 어떤 한 상품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니 상품별로 상이한 점을 고려하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축보험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
사업비가 적은 상품을 선택
최근에는 무해지환급형 상품이나 사업비가 낮은 온라인 전용 상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기존보다 수익률이 높고, 단점이 일부 개선되었습니다.
목적에 맞는 상품 선택
- 목돈 마련 목적이라면 일반 저축보험이나 무해지환급형을 선택합니다.
- 노후 대비 목적이라면 연금 저축보험을 선택하며 세제 혜택을 활용합니다.
계약 기간을 장기로 유지
저축보험은 단기보다는 **장기 유지(10년 이상)**할수록 복리 효과를 크게 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유 자금으로 장기 계획을 세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익률을 꼼꼼히 비교
보험사마다 공시이율과 최저보증이율이 다릅니다. 다양한 보험사의 공시이율을 비교해보고, 수익률이 높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납입 제도 활용
저축보험의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납입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납입 시 사업비가 거의 부과되지 않으므로 원금 대비 수익률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저축보험을 추천하는 경우와 비추천하는 경우
저축보험이 적합한 경우
- 안정성을 중시하며, 중간에 자금을 인출할 가능성이 적은 사람
- 세제 혜택을 받으면서 노후 대비를 하고 싶은 사람
- 중도인출 기능 등 유연성이 필요하지만 기본적인 보장도 원할 때
저축보험이 부적합한 경우
- 고수익을 원하는 투자자 (주식이나 ETF가 더 적합)
- 단기 투자자 (저축보험은 장기 상품)
- 유동성이 필요한 사람 (중도 해지 시 손실 가능성 큼)
결론
저축보험은 ‘쓰레기’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이는 주로 상품에 대한 오해나 잘못된 판매 관행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 유지하면 복리 효과와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장점을 누릴 수 있으며, 단점을 보완할 방법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목적에 맞는 상품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가입 전 상품 구조와 사업비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입니다.
요약
- 저축보험은 목돈 마련 및 노후 대비에 유용한 금융상품으로, 원금 보장형, 연금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장점으로는 복리 효과, 세제 혜택, 보험 기능 포함 등이 있지만, 낮은 수익률과 해지 시 손실 등 단점도 존재합니다.
- 저축보험이 ‘쓰레기’라고 불리는 이유는 높은 사업비, 복잡한 구조, 불완전판매 등이 있으며, 무해지환급형이나 추가납입 제도 등으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 목적에 따라 저축보험을 적절히 활용하면 안정적인 자산 관리와 노후 준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축보험 추천
저축보험의 매력을 느끼셨다면 아래와 같은 저축보험을 추천합니다.
추천하는 보험 3가지 종류
필요에 의한 건강상의 보험
예를 들어 가족 중에 암으로 돌아가시거나 걸리신 경우가 많은 경우 암보험을 들어두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혹은 치아가 좋지 않은 경우 치아 보험을 들어둔다면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화재보험 혹은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본인의 집이 자가이거나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혹은 전세집에 큰 돈이 들어가있는 경우 화재보험이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을 들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펫보험
반려견 및 반려묘 등의 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분들의 경우 펫보험을 들어두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인데요. 동물의 경우 보험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한번 병원을 다녀오면 최소 10만원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래 보험들은 추천하는 펫보험들입니다.